구분 | 온프레미스 |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 |
소유권 | 기업이 직접 소유 및 운영 | 클라우드 제공업체 소유 | 기업이 소유 또는 외부 제공업체가 관리 |
인프라 위치 | 기업 내부 데이터센터 | 클라우드 제공업체 데이터센터 | 기업 데이터센터 또는 외부 제공업체(CSP) |
보안 | 가장 높은 보안성,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운영 |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보안 정책에 따름 | 조직 전용으로 높은 보안성 보장 |
확장성 | 하드웨어 추가 필요, 확장에 시간 소요 | 즉시 확장 가능 | 온프레미스보다 유연하지만 제한적 |
비용 구조 | 초기 비용이 높음, 유지보수 비용 지속 발생 | 사용량 기반 요금제, 초기 비용 낮음 | 초기 비용 높지만 장기적으로 절감 가능 |
유지보수 | IT 팀이 직접 관리 | 클라우드 제공업체 관리 | 자체 관리 또는 일부 외주 |
# 온프레미스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 인프라가 있는 위치, IT 자원을 누가 관리하느냐 (클라우드 - Auto Scaling)
프라이빗 클라우드 : 자신의 기업을 위한 전용 클라우드 환경,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만들기에 온프레미스와 비슷하지만 Auto Scaling이 된다는 특징이 있음
빠르게 서비스 확장이 필요 | 퍼블릭 클라우드 (AWS, Azure, GCP 등) |
보안이 중요하고 데이터 통제가 필요 |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 전용 클라우드) |
완전한 데이터 통제가 필요하며, 규제 준수가 중요 | 온프레미스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을 모두 고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 퍼블릭 클라우드) |
[Kubernetes for the Absolute Beginners] Kubernetes Concepts : Pods (0) | 2025.03.18 |
---|---|
[AWS] 생존을 위한 AWS : 용어정리(3) - EC2, Auto Scaling, EBS (0) | 2025.01.12 |
[AWS] 생존을 위한 AWS : 용어정리(2) - S3 관련 내용 (0) | 2025.01.12 |
[AWS] 생존을 위한 AWS : 용어정리(1) - Amazon VPC : 서브넷, 라우팅과 NAT, 보안그룹과 네트워크 ACL (0) | 2025.01.12 |
[Docker] Docker 네트워크 구조 + 종류와 각각의 특징 (2)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