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VPC 내에 EC2(A), EC2(B), EC2(C-모니터링) 가 존재하고 A, B는 서브넷(a)에 C는 서브넷(b)에 위치했었다
서브넷(a)는 AZ(1)에 위치했었고 서브넷(b)는 AZ(2)에 위치해있었다
즉, 서브넷(a)와 서브넷(b)는 인터 AZ 통신 요금이 발생했다 (1GB당 약 $0.01)
사실 원래 목적은 A, B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C에서 확인해야 하는 것이기에
하나의 AZ가 장애가 나더라도 다른 AZ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C에서 감지하고 문제있어요!! 라고 알림을 주는 것을 원했는데
I'm broke 의 이유로
서브넷(a) 에 를 두고 싶어졌다 ㅎ
AZ를 직접 옮길 수가 없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작업을 통해 진행하려고 했다
(1) 스냅샷 뜬 다음에 옮기고 싶은 AZ에 스냅샷을 이용하여 볼륨을 만든다
(2) 새로운 인스턴스를 중지 상태로 만든 다음에 기존 볼륨을 제거한다
(3) 새로운 볼륨을 /dev/sdv1 에 attach 한다
완벽한 시나리오..
하지만, 이름을 잘못 적어서 다른 서버의 볼륨을 스냅샷 떴고
기존 볼륨을 제거한 뒤 바로 삭제해버리는 바람에..
망했다 ㅎ (로컬에는 설정파일 있어서 다행히 하나하나 설정하면 된다..ㅎ 그런데 내 대시보드 다 날라감 ㅠㅠ 어캄)
만약 이런 경우가 발생한 경우
휴지통 (?) 기능을 활성화해서 복구 시킬 수 있다고 하지만
해당 기능 활성화 전에 일어난 일이라 ㅎ
인스턴스도 예전에 실수로 다른 걸 종료해서 다시 재구축했던 적이 있었다
(1) 중요한 인스턴스는 종료 방지를 해두자
(2) 정기적으로 스냅샷을 찍어 백업 해두자
2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AMI 만들기]
기존에 잘 동작 중인 EC2 인스턴스에서 "Create Image" 기능 사용
루트 EBS와 설정 정보 포함됨
AMI 생성되면 EC2 > AMIs 탭에서 확인 가능
[AMI로 EC2 여러 대 생성]
AMI를 선택해서 원하는 만큼 인스턴스를 생성 가능
각각의 인스턴스는 AMI 당시 상태로 초기화된 복제본(코드, 설정, 패키지, 환경 등 전부 동일)
EC2에서 생각보다 더 많은 비용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C2 비용 == 거의 EBS 비용
EBS 늘리기는 쉽지만 줄이기는 어렵다...
처음에 EBS 20GiB 정도로 설정해두고.. 생각해보자
방안1. EBS 용량 줄이기 (NO!)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닌 이상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EBS 용량은 줄여도 된다고 생각하여 줄이는 방안을 찾아봤지만 까다롭다
방안2. RDS로 이전 (NO!)
프리티어일 때는 월 750시간 무료
하지만 1년뒤에는 엄청 비쌈 + 다시 EC2로 회귀해야함
방안3. 예약 인스턴스 사용
1년 또는 3년 약정으로 최대 75%까지 할인 가능
EC2 인스턴스를 장기간 항상 켜둘 경우 매우 유리
방안4. 취뽀 성공 후 행복하게 소비한다 (dreams come true...)
[쀼] Notification에 동시에 두 번 저장 요청 되는 문제 : Unique 제약 조건 지키지 않는다는 예외 발생 원인을 파악해보자 (0) | 2025.03.17 |
---|---|
[쀼] 백엔드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분리 (MySQL 직접 운영) (4) | 2025.02.21 |
[쀼] S3에 업로드한 사진 : 이미지 핫링크 방지 과정 (3) (0) | 2025.02.11 |
[쀼] S3에 업로드한 사진 : 이미지 핫링크 방지 과정 (2) (1) | 2025.02.10 |
[쀼] S3에 업로드한 사진 : S3 퍼블릭 엑세스 차단 활성화(1) (1)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