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 비대면 경제 & 사회 교육을 위한 플랫폼 “TaxMate” 는 [유튜브 : 세금 내는 아이들의 학급 경제/사회 활동]을 온라인화한 프로젝트입니다.
- 직업직업을 갖고 월급을 받습니다.
- 학생들은 구직활동을 합니다.
- 금융 활동 (예금, 주식 매도/매수)
- 자산을 불리기 위해 예금 활동, 주식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 입법활동이 과정은 국회의 시스템을 단순화하였습니다.
- 기본 법률을 제외한 추가적인 법률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 비대면에도 [직업 활동/ 세금 납부/시장 운영/ 예금 관리/ 주식 시장/ 학급 회의]와 같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교육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 사용한 기술 스택
- React + Node.js + MongoDB
맡은 역할
- API 개발
- 주식
- 주식 등록/삭제
- 주가 및 뉴스 등록/수정
- 매도/매수
- 은행
- 직업
- 세금
진행
- Github (코드/버전 관리)
- 커밋 메시지 지키기
- 브랜치 관리
- Issue 등록 form 설정
- Slack (일정/자료 공유)
- 스터디 진행
다들 React, Node.js 기술 사용 수준에 차이가 있어서 스터디를 진행하였습니다.
React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https://eundms.tistory.com/292
어려웠던 점 & 극복 과정
- 사용 가능 자원을 고려하지 않은 거대한 프로젝트 선정의 문제
- 학생(사용자)/ 선생님(관리자) 역할에 따라 다른 화면/기능
- 주식/직업/법/세금 등등 관리자의 자율성이 강하고 서로 연관되어있는 수많은 모듈
- 프로젝트 인원 : 4명(프론트앤드1 , 풀스택 2, 백엔드1)
- 프로젝트 초~중후반 가용 인원 : 저를 제외한 0명...
다음 부터는 개발 참여 가능 인원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의 프로젝트를 선정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처음 배우고 사용해보는 기술 스택(javascript, react, node.js)
- React와 Javascript는 공식 문서를 이용하여 빠르게 학습하고자 하였습니다.